ETF분석

4월 베스트 월배당 ETF 순위 - 왜 국내 투자형이 강세였을까?

ETF로 월급 만들기 2025. 4. 29. 23:29

 

 

0. 월배당 ETF, 선택은 신중해야 한다

월배당 ETF는 매달 현금 흐름을 만들어주는 만큼,
단순 수익률만 보고 고를 수는 없다.

배당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고,
가격이 올랐다고 무조건 믿을 것도 아니다.

이번 5월, 우리는 단순히 배당 수익률이 높은 종목이 아니라,

  • 변동성 관리,
  • 운용 규모,
  • 총보수,
  • 안정적 배당 흐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진짜 포트폴리오에 담을 만한 ETF들을 고르기로 했다.

그 기준 위에서,

5월에 매수할 ETF를 뽑아봤다.

이기는 투자는 멋진 선택이 아니라, 좋은 선택을 반복하는 것이다.

 

물론,
이번에 매수 후보에서 제외된 ETF들을 매도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여전히 충분히 좋은 ETF들이고,
시장 상황이 바뀐다면 언제든 포트폴리오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 자산들이다.

 

1. 월중 월배당 ETF TOP 3


1-1.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선정 이유

  • 변동성 매우 낮음 (변동성 순위 2위)
  • 시가배당율 1.39%로 상위권 (8위)
  • 운용규모 3,742억 원으로 대형급 (5위)

한줄 요약

"안정성 + 배당 + 대형규모 3박자 고루 갖춘 월배당 ETF."


1-2. 🥈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선정 이유

  • 리츠 기반으로 경기 방어력 강함
  • 총보수 0.09%로 최상위 저렴 (2위)
  • 6개월/연초후 수익률도 양호, 상승 구간 7개

한줄 요약

"배당과 안정성 모두 원하는 투자자에게 딱 맞는 리츠 월배당 ETF."


1-3. 🥉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선정 이유

  • 시가배당율 0.82%로 고른 수익 흐름
  • 운용규모 3,565억 원으로 대형 (7위)
  • 총보수 0.19%로 낮음 (3위)

한줄 요약

"글로벌 배당주로 분산하면서도 매월 수익을 노리는 전략형 ETF."


2. 월말 월배당 ETF TOP 3


2-1.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선정 이유

  • 변동성 매우 낮음 (6위)
  • 시가배당율 1.49%로 최상위권 (7위)
  • 운용규모 3,548억 원으로 안정적 (8위)

한줄 요약

"배당수익과 변동성 안정성을 둘 다 잡은 월말 최강자."


2-2. 🥈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선정 이유

  • 변동성 거의 최상위 수준 (3위)
  • 시가배당율 1.52% (6위)로 고배당 매력
  • 상승 구간도 5개로 탄탄한 흐름

한줄 요약

"조용히 강한, 고배당 + 안정성 콤보 월말 ETF."


2-3. 🥉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선정 이유

  • 시가배당율 1.24% (10위)
  • 운용규모 7,051억 원으로 초대형 (2위)
  • 총보수 0.25%로 중간 수준

한줄 요약

"대형 성장주 + 월배당을 한 번에 챙기는 공격형 전략 ETF."


3.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 CD금리만 좇는 초저위험 ETF들은 제외했음 (배당 메리트 약함)
  • 배당율이 1% 이상, 운용규모 일정 수준 이상, 수익률 흐름까지 반영
  • 국내 기반 ETF들이 변동성 대비 매달 수익을 더 확실하게 주는 구성이 많음

요약

"배당과 안정성, 둘 다 포기하지 않은 ETF들이 살아남았다."


 

4. 💰 5월 7일 매수예정 - 월중 ETF 매수 포트폴리오 (50만 원)

매수 대상: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비중 예시:

  • 200타겟 50% (25만 원)
  • 리츠 30% (15만 원)
  • 미국배당 20% (10만 원)

이유:

  • 국내 기반 ETF 위주로 안정성 확보
  • 리츠와 커버드콜 혼합으로 현금흐름 + 분산
  • 최근 차트 상 200타겟은 이중 바닥 돌파 직전 흐름

5. 💰 5월 19일 매수예정 - 월말 ETF 매수 포트폴리오 (50만 원)

매수 대상: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비중 예시:

  • RISE 40% (20만 원)
  • 고배당주 40% (20만 원)
  • 나스닥100 20% (10만 원)

이유:

  • 월말에는 미국+고배당 커버드콜 섞은 공격형 조합
  • 특히 RISE는 단기 반등 + 배당률 상위
  • 나스닥100 커버드콜은 저점 다지고 이중 바닥 진입 가능성

6. 🇰🇷 국장 vs 🇺🇸 미장: 이번엔 국장이 이겼다, 왜?

KODEX 200타겟 차트

  • 반등 이후 MA라인(이평선) 돌파
  • 상승 추세로 전환 중
  • 거래량도 실림

반면 TIGER 나스닥100 타겟 차트

  • 낙폭 과대 상태에서 반등 약함
  • 아직 60/120일선 하단
  • 반등이라기보다 기술적 되돌림 느낌

결론:

  • 이번엔 국장 월배당 ETF가 변동성 대비 확실한 회복 흐름
  • 수익률도 방어 잘했고, 차트도 우상향 준비 완료 상태

 

7. 나스닥 OTM, 이번엔 빠졌다. 왜?

지난번에는 배당 수익률과 커버드콜 전략의 매력으로 상위에 랭크됐던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타겟커버드콜 OTM.
하지만 이번에는 순위권에서 탈락했다. 이유는 명확하다.


🎯 OTM 커버드콜 전략의 구조적 한계

OTM(Out of the Money) 커버드콜은,
‘현재가보다 높은 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이다.
쉽게 말해,

“이 가격 이상 안 갈 거야”라고 시장에 배팅하고 프리미엄을 받는 구조다.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주가가 횡보하면 → 프리미엄 수익 확보
  • 주가가 완만하게 오르면 → 주가 상승 + 프리미엄 이중 수익
  • 배당 + 옵션 수익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구조

하지만 단점은 지금 같은 장세에서 여지없이 드러난다.


📉 이번 장세에서 터진 치명적인 약점

① 급락장에서는?

  • OTM 전략도 주식은 그대로 보유
  • 주가가 빠지면 손실 그대로 노출
  • 프리미엄 수익으론 낙폭을 커버하지 못함

② 반등장에서는?

  • 주가가 급반등하면 콜옵션이 수익을 막아버림
  • 특히 ‘데일리 타겟’ 방식은 매일 새로 옵션을 걸기 때문에,
    급등장이 이어지면 하루하루 수익이 계속 잘려 나가는 구조
  • 결국 회복을 따라가지 못하고 박스권에 갇힌 수익률이 된다

📌 실제 케이스 요약

📅 구간 🛠️ OTM 효과 📉 실제 결과

4월 초 급락 방어 불가능 주가 급락 → 평가손실 그대로 반영됨
4월 말 이후 반등 수익 제한 빠른 반등 → 옵션 행사로 수익 제한됨

 

즉,

"급락 땐 같이 맞고, 급등 땐 못 올라가는 구조"
이게 바로 이번에 나스닥 OTM ETF가 빠진 이유다.

특히 ‘데일리 옵션 매도’ 전략은 단기 급등장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이번 순위 탈락의 핵심 요인 중 하나다.


 

8. PLUS 고배당주, 배당 상승… 하지만 매수 타이밍은?

최근 PLUS 고배당주는 배당금이 63원 → 73원으로 인상됐다.
단순 수치만 보면 상당히 매력적인 배당성장이다.
게다가 4월 중순 이후 강한 반등세를 보이며 13,595원 → 15,290원까지 약 12% 상승했다.

하지만…

"지금 들어가도 될까?"
이 질문엔 한 번쯤 멈추고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 지금은 과열 구간일 수도

  • 이미 단기 급등을 거치며 기술적 과열 가능성 존재
  • 거래량 피크 이후 고점 근처에서 장대음봉 출현
  • 15,800원 부근 과거 매물대에 근접한 상태

🔎 그렇다면 어디서?

현재 추세가 조정 국면에 진입한다고 가정하면
기술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지점은 14,400원 ~14,600원 근처.

  • 볼린저밴드 하단
  • 2월~3월 박스권 지지선
  • 단기 하락 시 재매수 구간으로 유력

✅ 요약

항목 상태

배당금 73원 (기존 대비 +15.8%)
시가배당률 0.48% 수준 (가격 상승 영향)
기술적 위치 과열권 → 눌림목 가능성
매수전략 14,400원 부근 분할 접근 유효

"지금은 존버가 아니라 기다림이 전략."
배당은 좋지만, 가격이 싸야 진짜 배당 투자니까.


 

9. 5월 매수 종목 선정에 대한 맺음말


시장은 언제나 우리의 기대와는 조금씩 어긋난다.
때로는 우리가 정말 좋아하는 종목이 빠지고,
정작 눈에 잘 안 들어오던 종목이 올라오는 게 투자라는 게임의 룰이다.

 

이번 5월 포트폴리오에서는
내가 애정하는 PLUS 고배당주
안타깝게도 기준점에서 탈락했다.

 

물론 아쉽다.
배당금도 올랐고, 최근 반등 흐름도 좋았다.
하지만 이번 전략은 감정이 아닌 데이터와 구조로 결정한 선택이었다.


이번 매수 종목들은
배당 안정성, 변동성 관리, 운용 효율성 이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가장 균형 잡힌 조합을 만들어낸 결과다.

그리고 어쩌면,
좋아하는 종목이 빠졌을 때조차 전략대로 움직일 수 있는가가
투자의 진짜 실력일지도 모른다.

 

 

좋아하는 종목이 빠졌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그들은 당장이 아닌, 다음 기회에 다시 돌아올 수 있는 자격을 가진 후보들이니까.
지금은 조금 기다릴 뿐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번 달도,
시장에 휘둘리지 않고,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기준 안에서
가장 나은 선택을 했다.

그게 결국 장기적으로 승리하는 투자자의 자세다.


✍️ 요약

  • 좋아하는 종목이라도 기준을 지키자
  • 변동성과 수익성, 규모와 비용을 객관적으로 보자
  • 감정은 접고, 전략은 유지하자